絶學無憂
唯之與阿 相去幾何 善之與惡 相去若何
人之所畏 不可不畏 荒兮其未央哉
衆人熙熙 如享太牢 如春登臺
我獨泊兮其未兆 如嬰兒之未孩
儽儽兮 若無所歸
衆人皆有餘 而我獨若遺
我愚人之心也哉 沌沌兮
俗人昭昭 我獨昏昏 俗人察察 我獨悶悶
澹兮其若海 飂兮若無止
衆人皆有以 而我獨頑且鄙
我獨異於人 而貴食母
내가 학문을 끊으면 아무 걱정이 없을 텐데,
(쓸데 없이 학문을 익힌 죄로) ‘예’와 ‘응’이 얼마나 다른가를 따지고 있어야 하는구나.
= 공손히 대답하는 ‘네’나 아무렇게나 대답하는 ‘예’(‘네’나 ‘아니오’나)나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안다는 것 때문에) 선악이 얼마나 다른 것이기에 둘 사이의 거리를 재는 것에 허비하고 있도다.
= ‘선(善)’이나 ‘악(惡)’이나 그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이는 (非禮와 惡) 사람이 두려워하는 바이니,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혼란하여 갈피를 잡지 못한다. <(그러나) 버릴지로다! 따져도 끝이 없는(부질없는) 구별일 뿐이니>
(예와 선악을 가르쳐도) 사람들은 그저 히히덕거리며 최고급 요리를 즐기고
쌍쌍이 누대위에 오르고 있지 않은가.
그런 세상 가운데 나 홀로 버려지니, 나는 갓난아기와 같아서 아직은 어찌해야 좋을지 알 수가 없구나.
= 그런 세상 가운데 나 홀로 머물도다, 나는 갓난아기와 같아서 아직은 아무런 결정을 할 수가 없구나
고달프고 지쳤는데도 (나는) 돌아갈 곳도 없는 것 같구나.사람들은 모두 여유가 있건만, 나는 왜 이처럼 모든 것을 잃어버렸단 말인고!
내 어리석은 마음이 재난과 같구나. 어둡고 어둡도다!
세상 사람은 모두 밝고 명랑한데 나는 혼자 어둡고 우울하며,
사람들은 모두 영리하건만, 나만 혼자 아둔하도다.
(내마음) 흔들리기가 일렁이는 바다와 같고, 그치지 않는 바람과 같구나!
사람들은 모두 살아가는 이유가 있는데, 나만 홀로 천덕꾸러기처럼 무디기만 하구나.나는 세상 사람들과 유독 달라 세상 만물을 기르는 천지(우주)의 어머니를 소중히 여기노라.
唯 오직 유, 누구 수 (예,wei,禮) 阿 언덕 아, 호칭 옥 (응,e,非禮) 荒 거칠 황
央 가운데 앙 享 누릴 향 牢 소우리 뢰, 좋은음식 뢰 泊 배댈 박
孩 어린아이 해 儽 고달플 래 沌 어두울 돈 昭 밝을 소 悶 번민할 민
澹 담박할 담 飂 바람소리 료 頑 완고할 완 鄙 시골 비 母 : 萬物之母, 天下母
※ 이경숙 해설
이 장은 <도덕경> 전체에서 대단히 특이하고 희귀한 장이다.
지금까지와는 달리 노자가 화자로서 ‘아(我)’라는 1인칭의 표현을 쓰고 있다.
즉 이장은 서술문이 아니라 노자가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여 밝힌 독백이다. 또한 노자가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여 밝힌 독백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세상 사람들의 무지와 어리석음에 대한 역설이다.
絶學無憂
‘학문을 끊어라, 그러면 근심이 없을지니’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노자 혼자 독백하기를 ‘내가 학문을 끊으면 아무 걱정이 없을 텐데...’하는 넋두리다.
唯之與阿 相去幾何
‘예(禮)’와 ‘비례(非禮)’가 얼마나 다르기에 그런 것을 배워서 속을 썩히고 앉았느냐는 푸념이다.
善之與惡 相去若何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이며, 그 둘 사이가 얼마나 차이가 지기에 그것을 따져야 하느냐’는 푸념이며, 학문이란 걸 배운 탓에 그런 것이나 재고 있는 자신이 한심하다는 넋두리다.
人之所畏 不可不畏
‘사람이 두려워하는 바’는 바로 ‘예(禮)와 구별되는 비례(非禮)’이고 ‘선(善)에 대비되는 악(惡)’이다. 즉 사람들이 ‘비례(非禮)와 악(惡)을 두려워하는 바 어찌 이것이 두렵지 않겠는가!’이다.
荒兮其未央哉
혼란하여 갈피를 잡지 못한다. (그러나) 버릴지로다! 따져도 끝이 없는(부질없는) 구별일 뿐이니. ‘버릴 것이로다! 그런 구별심은 부질없음이니!’
衆人熙熙 如享太牢 如春登臺
‘여춘등대’의 ‘춘(春)’은 ‘봄’이라는 뜻이 아니라, ‘연애-남녀간의 데이트’를 은유하는 말이다.
예(禮)와 선(善)을 아무리 가르치고, 그것을 두려워하며 사는 듯해도 결국 ‘사람들은 잔치나 벌이고 남녀가 어우러져 히히덕거리며 살아가더라’는 말이다. 인간 세상의 위선적인 모습에 절망하는 듯한 말이다.
我獨泊兮其未兆 如嬰兒之未孩
‘그런 세상 가운데 나 홀로 머물도다, 나는 갓난아기와 같아서 아직은 아무런 결정을 할 수가 없구나.’ 노자의 독백은 점점 처연해진다.
노자의 시대관은 상당히 세기말(世紀末)적이다. 절망과 우울의 콘트라스트가 짙은 희색빛으로 감돌고 있다. 그런 세상 끝에서 길 잃은 어린아이처럼 갈피를 못잡고 서성거리고 있는 자신을 바라보고 있다.
儽儽兮 若無所歸
‘래’는 ‘게으르다’ 또는 ‘고달프다’라는 뜻이다. 두 개를 겹쳐 쓴 것은 강조의 용법이다.
衆人皆有餘 而我獨若遺
여유롭고 흥청망청한 도회지의 대중 속에 홀로 고독한 지식인의 슬쓸한 초상이다. ‘군중 속의 고독’은 현대의 산물만은 아니었던 모양이다. 어느 시대건 선각자나 혁명가는 외로운 운명인가 보다.
我愚人之心也哉 沌沌兮
마음의 재난은 바로 그의 학문이 가져온 것이다. 이것을 알기 때문에 괴로운 것이고, 그래서 마음이 재난과 같아진 것이다. 지식인의 회의와 내면의 갈등이 적나라하게 표출되고 있다.
衆人皆有以 而我獨頑且鄙
여기서의 ‘이(以)’는 어조사가 아니라 ‘까닭’이다. ‘이(以)’는 ‘까닭 이’로도 쓰인다.
노자가 가지고 있지 못한 삶의 이유를 대중들은 가지고 있을까? 그것이 아니라, 희희낙락 걱정없이 사는 듯한 그 모습이 마치 삶의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한 쪽에는 삶의 이유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삶의 이유를 고뇌하는 데 관심조차 없는 대중과, 다른 한쪽에는 삶의 이유에 회의하고 고뇌하는 노자가 있다.
我獨異於人 而貴食母
‘다른 사람들과 나는 유독 달라서, 세상과 만물을 기르는 우주의 어머니를 소중하게 여기노라’는 말로 노자의 독백이 끝나고 있다.
여기에서의 ‘모(母)’는 ‘만물지모(萬物之母)’, ‘천하모(天下母)’의 의미이다.
세상 사람들은 맛있는 요리를 먹고 남녀가 쌍쌍이 누대에 올라 노닐고, 영리하고 똑똑하게 살아가지만, 그런 것에 관심이 없어 오직 천지의 근원을 생각한다는 말이다.